본문 바로가기
주식 필수 노하우

원달러환율 2025 2026 전망 트럼프 관세 영향 1700원 가능한 시점

by jion_stock 2025. 3. 21.
반응형

원달러환율 실시간 현황 및 2025 2026 전망 분석 자료를 올려보고자 합니다. 저 혼자만의 분석이 아니라 세계의 환율전문가들이 예상하는 자료들도 함께 올려드리면서 자료 분석해볼테니 차분히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달러환율시세

1. 최근 원달러환율 상승 배경

글로벌 강달러 현상: 미 연준(Fed)의 고금리 기조 유지로 달러가 전반적으로 강세. 미국의 인플레이션 둔화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지며 달러 수요 증가.

국내외 경제 환경: 한국의 수출 호조(반도체 중심)에도 불구하고, 미·중 갈등, 중동 분쟁 등 지리정치적 리스크로 위험회피 심리 확대. 국내 경기 회복세 미약과 가계부채 문제도 원화 약세 요인.

금리 격차: 한국은행의 기준금리(현재 3.5%)와 미 연준 금리(5.25~5.5%) 간 차이로 달러 선호 현상 지속.

 

원달러환율-실시간

 

2. 전문가 및 기관 전망

긍정적 전망(원화 강세 가능성):

반도체 수출 호조: 글로벌 AI 수요 증가로 한국의 반도체 수출이 견조하며 경상수흑자 지속(2024년 상반기 경상수지 300억 달러 예상).

미 연준 금리 인하 예상: 2024년 말 미 금리 인하 가능성 대비해 달러 약세 전환 시나리오도 존재. 다만 인하 시점과 규모는 불확실.

원달러환율-미연준



정부의 시장 개입: 원화 급락 시 외환당국이 환율 안정화를 위한 매수 개입 가능성.

부정적 전망(원화 추가 약세):

미국의 장기 고금리 지속: Fed의 '장기 고금리(Longer Higher)'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달러 강세 지속.
국내 성장률 하향 조정: 한국은행의 2024년 GDP 성장률 전망치 2.5%로 하향되며 투자심리 위축.
중국 경기 부진: 한국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중국 수요 감소 가능성.

중립적 의견: 연말 원달러환율 1,450~1,500원 대에서 등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국은행, IMF, 주요 증권사).

 

현재 원달러 환율은 2025년 3월 기준 약 1450-1470원 수준입니다. 경제 전문가와 뉴스에 따르면, 환율은 2025년 내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Long Forecast는 12월까지 1453-1520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며, CoinCodex는 최대 1694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이는 원화가 달러에 대해 계속 약세를 보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 전망은 주로 글로벌 경제 상황, 한국의 수출 의존도, 그리고 정치적 불확실성에 기반합니다. 특히, 한국의 정치적 상황(예: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 불확실성)과 미국의 금리 정책이 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트럼프 관세 정책이 원달러환율에 미칠 영향

트럼프가 한국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원달러 환율은 추가로 상승(원화 약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세는 한국 수출품의 가격을 높여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 미국-중국 무역 전쟁에서 비슷한 관세 조치가 관련 국가의 통화 약세를 초래한 사례가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영향은 관세의 규모와 한국의 대응(예: 보복 관세, 협상) 등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트럼프는 최근 한국의 평균 관세가 미국의 4배라고 주장했으나, 이는 KORUS FTA(한미 자유무역협정) 하에서의 실제 관세율(2024년 기준 0.79%)과는 맞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는 환율에 미치는 간접적인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 영향:
수출 감소: 트럼프 정권이 한국산 철강, 자동차, 전자제품 등에 10~25% 관세 부과 시, 수출 의존도 높은 한국 경제에 타격.
예시: 2018년 트럼프의 철강 관세로 한국 철강 수출량 30% 감소.
경상수지 악화: 연간 50억~100억 달러 수출 감소 추정 시, 경상수지 흑자 축소로 원화 추가 약세 유발(환율 1,500원 돌파 가능성).

간접적 영향:
글로벌 공급망 재편: 미중 무역갈등 격화 시 한국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 차질(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투자심리 악화: 관세 발표 시 초기 자본 이탈 가속화로 원화 매도 심리 확대.
달러 수요 증가: 관세 회피를 위한 해외생산 확대(미국 내 현지화)로 기업의 달러 해외송금 증가.
역사적 참고: 2018년 트럼프의 중국 관세 전면전 당시 원달러환율은 1,100원 대에서 1,200원 대로 10% 이상 급등.

2024년 시나리오: 한국 직접 타격 시 환율 1,500~1,550원까지 상승 가능. 단, 정부의 외환보유액(현재 4,130억 달러) 활용 방어 움직임 제한적 효과 예상.

 

 

4. 종합 전망 및 시나리오

예를 들어, 2018년 트럼프는 한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에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는 당시 원화 약세로 이어졌습니다. 최근 뉴스에서도 한국의 대행 대통령 최상목이 미국의 관세 영향 검토를 지시한 바 있습니다 (Reuters), 이는 시장의 우려를 반영합니다.

정확한 환율 변동 폭은 관세의 규모, 한국의 대응 전략(예: 협상, 외환 개입), 그리고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관세 부과는 원화 약세를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달러환율-수출기업


기본 시나리오(확률 50%):
미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시나리오에 따라 연말 원달러환율 1,450~1,480원 대 안정.
단, 국내 경기 부진 지속 시 추가 약세 리스크.

관세 부과 시나리오(확률 30%):
트럼프 정권의 대한국 관세 15% 이상 발표 시, 환율 1,550원 돌파 및 1,600원까지 상승 가능.
한국은행의 긴급 금리 인상(4.0% 이상) 또는 외환당국 매수 개입으로 단기 조정 가능성.

극단적 리스크 시나리오(확률 20%):
미·중 무역전쟁 재개 + 대만 분쟁 등 지정학적 충격 시, 원화 안전자산 수요 감소로 환율 1,600~1,700원 급등.

 

경제 전문가와 뉴스 기사에 따르면, 2025년 원달러 환율은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표는 주요 예측 기관의 전망을 요약한 것입니다.

월Long Forecast (최저-최고, 종가)CoinCodex (최저-최고, 평균)
3월 2025 1438-1512, 1480 1457.02-1505.23, 1476.21
6월 2025 1457-1501, 1479 1492.06-1542.56, 1510.53
9월 2025 1547-1617, 1593 1499.09-1534.32, 1517.96
12월 2025 1497-1543, 1520 1607.67-1694.13, 1653.69

https://longforecast.com/dollar-to-won-usd-to-krw-forecast-2017-2018-2019-2020-2021

 

 

DOLLAR TO WON FORECAST 2025, 2026, 2027 - 2029

USD to KRW forecast for 2025, 2026, 2027, 2028 and 2029. Dollar to Won converter. USD to KRW predictions with open, high, low and close rates are in tables. Current Dollar to Won exchange rate and its trend outlook.

longforecast.com

 

결론
단기적(3~6개월): 미 연준 금리 정책과 한국 수출 동향이 환율을 좌우할 전망. 트럼프 관세 발표 시 1,500원 이상 상승 가능성 높음.
중장기적(1년+): 반도체 슈퍼사이클 지속 여부와 한국의 산업 경쟁력 강화가 원화 회복의 핵심 변수입니다. 정부의 구조적 개혁(노동, 금융, 규제)이 시장 신뢰도를 좌우할 것입니다.

반응형